본문으로 이동

포털:천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stronomy Portal
여기는 위키백과 천문학 포털입니다 · 천문학 · 위키프로젝트 천문학 · 분류:천문학
천문학이란

천문학(天文學)은 항성, 행성, 혜성, 은하계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우주의 진화, 물리학, 화학, 운석, 천체의 운동, 형성과 발전(진화) 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은 자연과학 가운데 비교적 일찍 시작된 학문으로, 천체를 관측하여 방위를 알고 항해의 원리에 이용하는 등의 목적으로 크게 발전되어 왔다.

은하의 충돌.
은하의 충돌.

17세기를 전후하여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문학은 '더 멀리' 볼 수 있게 되었고,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발전된 역학, 전자기학상대성이론과 같은 현대 물리학의 업적은 천문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인간은 지구를 벗어나 우주 공간에서 우주를 관찰·탐험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천문학은 천체물리학이라는 특수 연구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천체에 관한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알찬 글
이주의 천체
센타우루스 A 은하(NGC 5128)는 우리 은하로부터 14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센타우루스자리에 있는 특이은하이다. 이것은 지구에 가장 가까운 라디오 전파원 중 하나이며, 그래서 이 활동은하핵은 전문적인 천문학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다. 은하 자체도 전천에서 다섯째 밝으며, 은하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블랙홀로부터 에너지를 얻어내는 상대론적 제트는 X선과 라디오 파장을 방출한다.
이주의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지동설을 주장하여 근대 자연과학의 획기적인 전환,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의 전환'을 가져온 폴란드 혹은 프로이센 태생의 천문학자이다. 여러가지 이름 표기는 그가 태어난 곳(폴란드)과 그의 모국어(독일어) 그리고 그가 즐겨 쓴 라틴어를 감안하여 세가지 언어로 표기한다.
천문학 관련 새 소식
오늘의 그림
블랙홀의 상상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