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인목왕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ref>[http://sillok.history.go.kr/id/kpa_11006028_001 인조실록 26권, 인조 10년 6월 28일 갑오 1번째기사] 대왕 대비 김씨의 졸기</ref>)는 조선의 14대 국왕 [[조선 선조|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다. 흔히 '''인목대비'''(仁穆大妃)로 불리나, '인목(仁穆)'은 죽은 뒤에 받은 시호(諡號)이기 때문에 이는 잘못된 호칭이다. [[선조]] 때 '소성(昭聖)'이라는 존호를, [[광해군]] 때 '정의(貞懿)'라는 존호를 받아 통칭 '''소성대비'''(昭聖大妃)라 불렸다. [[조선 인조|인조]]가 반정으로 즉위한 뒤 대왕대비가 되어 '명렬(明烈)'이라는 존호가 더해졌고, 죽은 뒤 '광숙장정(光淑莊定)'이라는 휘호와 '인목'이라는 시호가 올려졌다. [[대한제국 고종|고종]] 때에 '정숙(正肅)'이라는 존호가 추가로 더해짐으로써, 정식 시호는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정숙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正肅仁穆王后)이다.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ref>[http://sillok.history.go.kr/id/kpa_11006028_001 인조실록 26권, 인조 10년 6월 28일 갑오 1번째기사] 대왕 대비 김씨의 졸기</ref>)는 조선의 14대 국왕 [[조선 선조|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다. 흔히 '''인목대비'''(仁穆大妃)로 불리나, '인목(仁穆)'은 죽은 뒤에 받은 시호(諡號)이다. [[선조]] 때 '소성(昭聖)'이라는 존호를, [[광해군]] 때 '정의(貞懿)'라는 존호를 받아 통칭 '''소성대비'''(昭聖大妃)라 불렸다. [[조선 인조|인조]]가 반정으로 즉위한 뒤 대왕대비가 되어 '명렬(明烈)'이라는 존호가 더해졌고, 죽은 뒤 '광숙장정(光淑莊定)'이라는 휘호와 '인목'이라는 시호가 올려졌다. [[대한제국 고종|고종]] 때에 '정숙(正肅)'이라는 존호가 추가로 더해짐으로써, 정식 시호는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정숙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正肅仁穆王后)이다.


== 생애 ==
== 생애 ==

2020년 11월 26일 (목) 21:29 판

인목왕후
왕비
재위 1602년 ~ 1608년
전임 의인왕후
후임 폐비 유씨(문성군부인)
왕대비
재위 1608년 ~ 1618년(왕대비 재위기간)
1618년 ~ 1623년(서궁 유폐 시절)
1623년 ~ 1624년(인조 반정으로 복위)
전임 인성왕후(공의왕대비)
인순왕후(의성왕대비)
후임 장렬왕후(자의왕대비)
대왕대비
재위 1624년 ~ 1632년
전임 문정왕후(성렬대왕대비)
후임 장렬왕후(자의대왕대비)
이름
별호 소성왕대비, 폐비(서궁), 소성대왕대비
시호 인목(仁穆)
존호 소성정의명렬(昭聖貞懿明烈)
휘호 광숙장정정숙(光淑莊定正肅)
신상정보
출생일 선조 17년(1584) 11월 14일
출생지 반송방(盤松坊) 사저
사망일 인조 10년(1632) 6월 28일
사망지 인경궁 흠명전(欽明殿)
부친 연흥부원군 김제남
모친 광산부부인 광주 노씨
배우자 선조
자녀 영창대군, 정명공주
능묘 목릉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1])는 조선의 14대 국왕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다. 흔히 인목대비(仁穆大妃)로 불리나, '인목(仁穆)'은 죽은 뒤에 받은 시호(諡號)이다. 선조 때 '소성(昭聖)'이라는 존호를, 광해군 때 '정의(貞懿)'라는 존호를 받아 통칭 소성대비(昭聖大妃)라 불렸다. 인조가 반정으로 즉위한 뒤 대왕대비가 되어 '명렬(明烈)'이라는 존호가 더해졌고, 죽은 뒤 '광숙장정(光淑莊定)'이라는 휘호와 '인목'이라는 시호가 올려졌다. 고종 때에 '정숙(正肅)'이라는 존호가 추가로 더해짐으로써, 정식 시호는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정숙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正肅仁穆王后)이다.

생애

연안 김씨 김제남(金悌男)과 광주 노씨의 딸로,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에 태어났다. 선조의 정비인 의인왕후(懿仁王后)가 사망한 뒤 1602년에 왕비로 간택되어 19세의 나이로 51세의 선조와 가례를 올렸다. 1603년 정명공주(貞明公主)를, 1606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낳았다.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왕대비가 되고 대북(大北)이 집권하였는데, 이들은 왕통의 취약성을 은폐하기 위해 인목왕후의 아버지 김제남을 사사(賜死)하고 이어 영창대군을 폐서인시킨 뒤 살해하였다. 인목왕후 역시 폐비되어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복호되어 대왕대비가 되었다.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 49세를 일기로 죽었으며, 선조의인왕후와 함께 경기도 구리시목릉(穆陵)에 묻혀 있다. 인목왕후의 서궁 유폐 생활은 그녀의 궁녀로 추정되는 작가가 쓴 《계축일기(癸丑日記)》에 전해진다. 금강산 유점사에 인목왕후가 친필로 쓴 《보문경》일부가 남아 있다.

저작

  • 《보문경》

가족 관계

 조선의 왕비   인목왕후 김씨 
 仁穆王后 金氏
출생 사망
1584년 12월 15일 (음력 11월 14일)
조선 조선 한성부 반송방 사저
1632년 8월 13일 (음력 6월 28일) (47세)
조선 조선 한성부 인경궁 흠명전


부모

본관 생몰년 부모 비고
연흥부원군 延興府院君
김제남 金悌男
연안 1562년 - 1613년 김오 金祦
안동 권씨 安東 權氏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사사됨
광산부부인 光山府夫人
노씨 盧氏
광주 1557년 - 1637년 노게 盧垍
청주 한씨 淸州 韓氏


배우자

 조선 제14대 국왕   선조 宣祖  출생 사망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조선 조선 한성부 인달방 도정궁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 (55세)
조선 조선 한성부 정릉동 행궁 정침


자녀

작호 이름 생몰년 배우자 비고
장녀 정명공주 貞明公主 1603년 - 1685년 영안위 永安尉 홍주원 洪柱元
차녀   공주[2] 1604년 - 1604년
장남 영창대군 永昌大君 의 㼁 1606년 - 1614년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증살

손자녀

정명공주 영창대군
홍태망 洪台望
 홍만용 洪萬容[3]
 홍만형 洪萬衡[4]
홍만희 洪萬熙
홍태량 洪台亮
홍태육 洪台六
홍만회 洪萬懷
홍태임 洪台妊 창성군 필 昌城君 佖[5]


등장 작품

드라마

영화

소설

  • 《광해군과 인목대비》 오영, 범우, 2008, ISBN 978-89-91167-81-0

관련 문화재

참고자료

같이 보기

출처

  1. 인조실록 26권, 인조 10년 6월 28일 갑오 1번째기사 대왕 대비 김씨의 졸기
  2. 선조실록》 181권, 선조 37년(1604년 명 만력(萬曆) 32년) 11월 17일 계사 1번째기사
    인시에 중전이 사태(死胎)를 낳았다. 【간밤부터 옥후(玉候)에 난산(難産)할 걱정이 있으므로 마침내 최생단(催生丹)과 다른 방문의 약을 썼다. 그 결과 인시에 비로소 공주를 낳았는데 사태였다.
  3. 혜경궁 홍씨의 고조부
  4. 인현왕후의 고모부
  5. 선조의 9남 경창군의 넷째 아들
전임
의인왕후
조선 역대 왕후
1602년 ~ 1608년
후임
폐비 유씨
(인헌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