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함종 어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1번째 줄: 91번째 줄:
* [http://www.hamjong.or.kr/ 함종어씨 중앙 종친회]
* [http://www.hamjong.or.kr/ 함종어씨 중앙 종친회]


[[분류:한국의 성씨|어, 함종]]
{{기본정렬:어, 함종}}
[[분류:평안남도 소재 성씨]]
[[분류:어씨|함종]]
[[분류:증산군]]
[[분류:본관별 성씨|함종]]
[[분류:한국의 성씨]]
[[분류:함종 어씨| ]]
[[분류:함종 어씨| ]]
[[분류:중국에서 들어온 성씨]]
[[분류:평안남도 소재 성씨]]
[[분류:증산군 출신]]
[[분류:중국계 한국인의 성씨]]

2016년 1월 10일 (일) 21:03 판

함종 어씨 (咸從 魚氏)
관향평안남도 증산군 함종리
시조어화인 (魚化仁)
집성촌경기도 김포시
충청북도 보은군
강원도 고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경남 거창군 가조면
주요 인물어변갑, 어효첨, 어세겸, 어세공, 어득강, 어영준, 어계선, 어운해, 어몽룡, 어몽렴, 어영담, 어한명, 어진익, 어사형, 어사상, 어유봉, 어유구, 어유룡, 어유붕, 어석정, 선의왕후, 어재연, 어윤중, 어윤적, 어담, 어윤희, 어윤배, 어준선, 어윤대, 어윤태, 어청수, 어남선
인구(2000년)13,321명 (316위)
비고함종어씨 중앙 종친회

함종 어씨(咸從 魚氏)는 평안남도 증산군 함종리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어화인(魚化仁)은 고려 명종 때 호장동정(戶長同正)을 역임하였다.

역사

함종 어씨(咸從 魚氏)의 시조 어화인(魚化仁)은 중국 풍익현(馮翊縣 지금의 섬서성) 출신으로 남송(南宋) 때 난을 피하여 고려 명종 원년에 고려에 동래(東來)하여 처음 강원도 강릉에 왔다가 뒤에 평안도(平安道) 함종현(咸從縣)으로 세거지를 옮겼다. 어화인은 고려 명종 때 호장동정(戶長同正)을 역임하였다. 2세 어영기(魚永寄)부터 6세 검교군기감사공(檢校軍器監事公) 어석공(魚石公)까지 고려조에 벼슬하여 현족(顯族)으로 세거하였기에 함종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조선조 때 어유구의 딸 선의왕후 어씨(魚氏)가 조선 20대 왕 조선 경종의 왕비가 되면서 함종현이 함종부(咸從府)로 승격되었다.

본관

함종(咸從)은 평남 강서군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땅이었는데, 오랫동안 황폐하였던 것을 고려 때 함종이라 개칭하여 현령을 두었다. 1895년(조선 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평양부 함종군이 되었고, 1896년에 평안남도 함종군이 되었다. 일제 1914년에 강서군과 합하여 강서군 함종면이 되었다. 북한의 행정구역으로는 평안남도 증산군 함종리에 해당한다.

분파

시조의 13세손에서 어세겸(魚世謙)의 문정공파(文貞公派)ㆍ어세공(魚世恭)의 양숙공파(襄肅公派)ㆍ어세익(魚世益)의 현감공파(縣監公派)ㆍ어문손(魚文孫)의 훈도공파(訓導公派)ㆍ어사룡(魚四龍)의 호군공파(護軍公派)ㆍ어무적(魚無迹)의 낭선공파(浪仙公派)ㆍ어한륜(魚漢綸)의 사직공파(司直公派)ㆍ어한종(魚漢宗)의 한종공파(漢宗公派)ㆍ어한위(魚漢緯)의 한위공파(漢緯公派)ㆍ어한형(魚漢亨)의 한형공파(漢亨公派)ㆍ어복로(魚服勞)의 금위공파(禁衛公派)ㆍ어원로(魚元老)의 참봉공파(參奉公派)ㆍ어정언(魚廷彦)의 진사공파(進士公派)로 13개의 파로 분파되었다.

  • 문정공파(文貞公派) - 어세겸(魚世謙)
  • 양숙공파(襄肅公派) - 어세공(魚世恭)
  • 훈도공파(訓導公派) - 어문손(魚文孫)
  • 호군공파(護軍公派) - 어사룡(魚四龍)
  • 낭선공파(浪仙公派) - 어무적(魚無迹)
  • 사직공파(司直公派) - 어한륜(魚漢綸)
  • 한종공파(漢宗公派) - 어한종(魚漢宗)
  • 한위공파(漢緯公派) - 어한위(魚漢緯)
  • 한형공파(漢亨公派) - 어한형(魚漢亨)
  • 부정공파(副正公派) - 어복로(魚服勞), 어원로(魚元老), 어정언(魚廷彦)

인물

  • 어준량(魚遵亮) : 고려 중랑장(中郞將)
  • 어변갑(魚變甲, 1380년 ~ 1434년) :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태종 때 성균관주부 ·좌정언 ·우헌납 등을 지내고 세종 때 집현전직제학 ·춘추관기주관을 거쳐 사간원지사에 올랐다.
  • 어효첨(魚孝瞻, 1405년 ~ 1475년) :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 검열 ·집현전교리를 지냈고 《예기일초(禮記日抄)》를 편찬하였다. 이후 직제학 ·대사성 ·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성종 때 중추부판사로 치사하였다. 어효첨의 두 아들 어세겸(魚世謙)과 어세공(魚世恭)도 모두 이름을 떨쳤다.
  • 어세겸(魚世謙, 1430년 ~ 1500년) : 조선 전기의 문신. 남이 등 반역자들을 주살하여 익대공신에 봉해지고 예조참판에 올랐다. 외교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오면서 《오륜서》 등 귀중한 책을 들여왔고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올랐다.
  • 어몽룡(魚夢龍) - 조선 선조 때 화가로 매화 그림에 뛰어나 황집중의 포도 그림, 이정의 대나무 그림과 더불어 3절로 불리었다.
  • 어영담(魚泳潭) - 조선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옥포, 노량 해전 등에서 공을 세웠다.
  • 어유봉(魚有鳳, 1672년 ~ 1744년)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집의, 사복시정(司僕寺正), 호조참의, 승지, 세자시강원찬선(世子侍講院贊善) 등을 역임하였다. 한원진과 이간이 심성변(心性辨)으로 논쟁할 때, 인성과 물성은 동일하게 오행의 이치를 갖추었다고 주장하며 이간의 편에 섰다.
  • 어유구(魚有龜, 1675년 ~ 1740년) : 조선 중기의 문신, 선의왕후의 아버지. 숙종 때 정언 ·수찬 ·응교 등을 지내고 병조참지로 있을 때 딸이 세자빈에 책봉되었다. 어영대장 겸 훈련대장·돈령부영사를 역임하였고 신임사화 때 노론을 극력 변호하였다. 1728년(영조 4)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 어석정(魚錫定, 1731년 ~ 1793년) : 어유구의 아들.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영조 때 도승지, 청송 ·장단 등지의 부사를 역임하였다. 암행어사 서영보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가 정조 때는 도총관을 거쳐 공조판서에 올랐다.
  • 어재연(魚在淵, 1823년 ~ 1871년) : 조선 후기 무신. 1841년(헌종 7) 무과에 급제하여 1864년(고종 1) 장단부사를 거쳐 1866년에 공충도(公忠道)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병인양요가 발생하자 병사를 이끌고 광성진(廣城鎭)을 수비하였다. 이후 회령부사(會寧府使)로 부임하였다가 1871년(고종 8) 2월 도총관·금위영 중군에 임명되었고, 신미양요가 발생하자 삼군부(三軍府)에서 순무중군(巡撫中軍)으로 추천하여 강화도에 급파되었다. 6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광성진에서 배수진을 치고 수비하던 그는 6월 11일 덕진진을 함락한 미군의 총공세에 맞서 고군분투하였다. 수륙양면작전을 전개하는 미군을 맞아 야포사격을 전개하다가 육박전에 돌입하여서는 끝까지 물러서지 않고 싸우다가 장열하게 전사하였다.
  • 어윤중(魚允中, 1848년 ~ 1896년) : 조선 후기의 문신. 1881년 일본에 파견된 조사시찰단의 단장으로 일본의 문물제도를 시찰하였고, 1882년 청나라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였으며, 갑오개혁 때 탁지부대신으로 재정개혁을 주관하였다. 경제개혁을 통해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했던 조선 후기 최고의 재정전문가이다.

현대 인물

과거 급제자

함종 어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4명을 배출하였다.[1]

문과

어계선(魚季瑄) 어득강(魚得江) 어명룡(魚命龍) 어변갑(魚變甲) 어사상(魚史商) 어사필(魚史弼) 어사휘(魚史徽) 어상준(魚尙儁) 어서룡(魚瑞龍) 어석광(魚錫光) 어석령(魚錫齡) 어석윤(魚錫胤) 어석정(魚錫定) 어세겸(魚世謙) 어세공(魚世恭) 어영준(魚泳濬) 어용겸(魚用謙) 어유구(魚有龜) 어유룡(魚有龍) 어윤중(魚允中) 어재렴(魚在濂) 어진열(魚震說) 어진익(魚震翼) 어효첨(魚孝瞻)

무과

어경량(魚景亮) 어득하(魚得河) 어사철(魚史喆) 어상길(魚尙佶) 어석규(魚錫圭) 어영담(魚泳潭) 어용해(魚用海) 어유규(魚有珪) 어윤영(魚允泳) 어재명(魚在溟) 어진한(魚震漢) 어필수(魚必遂) 어필원(魚必遠)

생원시

어계선(魚季瑄) 어명희(魚命羲) 어몽뢰(魚夢賚) 어반급(魚攀級) 어변갑(魚變甲) 어상준(魚尙儁) 어석오(魚錫五) 어숙명(魚淑明) 어영준(魚泳濬) 어용림(魚用霖) 어용변(魚用變) 어용우(魚用羽) 어용항(魚用恒) 어운해(魚雲海) 어유구(魚有龜) 어유룡(魚有龍) 어유붕(魚有鵬) 어응신(魚應辰) 어재완(魚在琬) 어필명(魚必溟) 어필영(魚必泳) 어한명(魚漢明) 어효첨(魚孝瞻)

진사시

어계린(魚季璘) 어계선(魚季瑄) 어명근(魚命根) 어사상(魚史商) 어사주(魚史周) 어사하(魚史夏) 어사휘(魚史徽) 어석문(魚錫文) 어석백(魚錫白) 어석우(魚錫雨) 어석윤(魚錫胤) 어석인(魚錫仁) 어숙의(魚叔義) 어순급(魚循級) 어영명(魚泳溟) 어영사(魚泳泗) 어영준(魚泳濬) 어영하(魚泳河) 어영해(魚泳海) 어용빈(魚用賓) 어용승(魚用升) 어용점(魚用漸) 어운해(魚雲海) 어유구(魚有龜) 어유봉(魚有鳳) 어유운(魚有雲) 어유원(魚有瑗) 어유임(魚有任) 어유형(魚有珩) 어유황(魚有璜) 어윤승(魚允承) 어윤용(魚允瑢) 어재천(魚在天) 어재황(魚在璜) 어진린(魚震鱗) 어진석(魚震奭) 어진열(魚震說) 어진익(魚震翼) 어진척(魚震陟)

음관

어명봉(魚命鳳) 어명서(魚命書) 어명서(魚命書) 어명준(魚命俊) 어병수(魚秉琇) 어병수(魚秉琇) 어병완(魚秉玩) 어병익(魚秉翼) 어상우(魚相愚) 어상우(魚相愚) 어석명(魚錫命) 어윤영(魚胤泳) 어재렴(魚在濂) 어재명(魚在溟) 어재선(魚在璿) 어재선(魚在璿) 어재연(魚在淵) 어재영(魚在泳) 어재영(魚在泳) 어재완(魚在琬) 어재완(魚在琬)

음양과

어이환(魚李瓛)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집성촌

각주

바깥 고리